회사명 | 업종 | 시장 | 상승률(%) 18년 4월6일 ~ 5월10일 | |
---|---|---|---|---|
011390 | 부산산업 | 시멘트, 석회, 플라스터 및 그 제품 제조업 | 코스피 | 400.00 |
007280 | 한국특수형강 | 1차 철강 제조업 | 코스피 | 113.53 |
014790 | 한라 | 토목 건설업 | 코스피 | 110.55 |
009810 | 엔케이물산 | 기타 전문 도매업 | 코스피 | 107.96 |
069460 | 대호에이엘 | 1차 비철금속 제조업 | 코스피 | 106.00 |
006390 | 현대시멘트 | 시멘트, 석회, 플라스터 및 그 제품 제조업 | 코스피 | 104.20 |
064350 | 현대로템 | 철도장비 제조업 | 코스피 | 101.50 |
008970 | 동양철관 | 1차 철강 제조업 | 코스피 | 93.10 |
003010 | 혜인 | 기계장비 및 관련 물품 도매업 | 코스피 | 91.43 |
071090 | 하이스틸 | 1차 철강 제조업 | 코스피 | 82.31 |
004980 | 성신양회 | 시멘트, 석회, 플라스터 및 그 제품 제조업 | 코스피 | 81.90 |
004090 | 한국석유공업 | 기타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코스피 | 75.05 |
007110 | 일신석재 | 건축자재, 철물 및 난방장치 도매업 | 코스피 | 70.00 |
002150 | 도화엔지니어링 | 건축기술, 엔지니어링 및 관련 기술 서비스업 | 코스피 | 68.77 |
058730 | 다스코 | 구조용 금속제품, 탱크 및 증기발생기 제조업 | 코스피 | 65.14 |
002410 | 범양건영 | 건물 건설업 | 코스피 | 63.41 |
001820 | 삼화콘덴서공업 | 전자부품 제조업 | 코스피 | 62.78 |
183190 | 아세아시멘트 | 시멘트, 석회, 플라스터 및 그 제품 제조업 | 코스피 | 60.93 |
008250 | 이건산업 | 나무제품 제조업 | 코스피 | 60.09 |
032820 | 우리기술 | 전동기, 발전기 및 전기 변환 · 공급 · 제어 장치 제조업 | 코스닥 | 292.28 |
234100 | 세원 | 자동차 신품 부품 제조업 | 코스닥 | 186.14 |
096350 | 대창솔루션 | 구조용 금속제품, 탱크 및 증기발생기 제조업 | 코스닥 | 172.92 |
045390 | 대아티아이 | 기타 전기장비 제조업 | 코스닥 | 157.14 |
196450 | 텔루스 | 사진장비 및 광학기기 제조업 | 코스닥 | 155.32 |
255220 | SG | 기타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코스닥 | 150.00 |
151910 | 나노스 | 전자부품 제조업 | 코스닥 | 116.07 |
100660 | 서암기계공업 | 일반 목적용 기계 제조업 | 코스닥 | 98.67 |
106520 | 디지탈옵틱 | 사진장비 및 광학기기 제조업 | 코스닥 | 88.21 |
049180 | 셀루메드 | 기초 의약물질 및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 | 코스닥 | 84.62 |
009520 | 포스코엠텍 | 1차 철강 제조업 | 코스닥 | 81.11 |
111870 | 삼본정밀전자 | 영상 및 음향기기 제조업 | 코스닥 | 80.89 |
065530 | 전파기지국 | 전기 통신업 | 코스닥 | 80.82 |
001840 | 이화공영 | 건물 건설업 | 코스닥 | 80.71 |
013810 | 스페코 | 특수 목적용 기계 제조업 | 코스닥 | 80.42 |
054340 | 피앤텔 | 통신 및 방송 장비 제조업 | 코스닥 | 80.31 |
054220 | 비츠로시스 | 전동기, 발전기 및 전기 변환 · 공급 · 제어 장치 제조업 | 코스닥 | 79.93 |
054930 | 유신 | 건축기술, 엔지니어링 및 관련 기술 서비스업 | 코스닥 | 76.28 |
148140 | 비디아이 | 일반 목적용 기계 제조업 | 코스닥 | 75.00 |
026150 | 특수건설 | 토목 건설업 | 코스닥 | 73.53 |
114190 | 웰크론강원 | 구조용 금속제품, 탱크 및 증기발생기 제조업 | 코스닥 | 73.29 |
159580 | 제로투세븐 | 생활용품 도매업 | 코스닥 | 70.97 |
094940 | 푸른기술 | 컴퓨터 및 주변장치 제조업 | 코스닥 | 67.28 |
197210 | 리드 | 특수 목적용 기계 제조업 | 코스닥 | 67.09 |
198440 | 고려시멘트 | 시멘트, 석회, 플라스터 및 그 제품 제조업 | 코스닥 | 64.88 |
226360 | 이엑스티 | 토목 건설업 | 코스닥 | 64.88 |
097870 | 효성오앤비 | 비료, 농약 및 살균, 살충제 제조업 | 코스닥 | 64.31 |
099220 | SDN | 기계장비 및 관련 물품 도매업 | 코스닥 | 64.24 |
023790 | 동일철강 | 1차 철강 제조업 | 코스닥 | 64.23 |
081150 | 티플랙스 | 기타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 코스닥 | 64.12 |
046120 | 오르비텍 | 기타 과학기술 서비스업 | 코스닥 | 62.25 |
043910 | 자연과환경 | 환경 정화 및 복원업 | 코스닥 | 61.42 |
064510 | 에코마이스터 | 특수 목적용 기계 제조업 | 코스닥 | 60.98 |
073640 | 삼원테크 | 기타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 코스닥 | 60.83 |
150840 | 인트로메딕 | 의료용 기기 제조업 | 코스닥 | 60.47 |
거래대금은 어떠할까?
코스피 코스닥 전체 거래대금을 분모로 하고 그 비중을 보았을 때
상승 이전에 약 0.025(2.5%) 미만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다가 본격적인 상승시기에 도입하고 5월 3일에서는 전체 거래대금의 17.5%가 위의 54개 종목에 집중되었다.
전체 종목수를 따지면 대략적으로 유가증권시장 770, 코스닥 1270종목이다.
이를 비율로 따지면 (54/(770+1270)) = 0.026으로 상승전에는 산술적으로도 정확하게 들어 맞았다. 그러다가 상승을 시작한 이후에 불과 54종목이 거래대금 전체의 17.5%를 차지하였다는 것으로 미루어 엄청난 자금의 흐름을 옅볼 수 있다.
거대대금 비중
이제 거래대금을 조금 더 입체적으로 살펴보기위해 거래주체별로 살펴보자. 크게 외국인, 기관, 개인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이들의 순매수량에 기초한 거래대름금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외국인 누적 순매매 거래대금 비중 동향
기관 누적 순매매 거래대금 비중 동향
개인 누적 순매매 거래대금 비중 동향
의외로 개인이 거래대금을 차지하는 비중이 아주 높다. 변동폭이 기관의 두배 이상이다. 외국인은 기관이나 개인의 큰변화가 없다가 5월 3일 부근에서는 대량 매도로 대응하여 기관이나 개인의 움직임과는 반대로 크게 움직였다.
결론.
투자주체별 동향은 참고 수준으로 보는 것으로 하고 시장 전체의 자금 흐름을 눈여겨 보자. 돈의 흐름(Flow)를 읽어보자는 것이다.
전체 거래대금의 17%가 짧은 기간동안 54개 종목에 쏠렸다는 것은 이는 절대 무시할만한 움직임이 아니다.
실제로 54개 종목을 경협으로 묶고 나머지를 일반으로 분류한뒤 지수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계산(시가총액 가중치)했을 시 54개 테마종목의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95.52% 상승하였으며 나머지 종목은 0.58% 상승하는 데에 그쳤다.
같은 기간 제약바이오의 지수를 계산한 결과 큰폭의 하락을 확인하였다. 자금의 이동측면에서 바라보면 당연한 결과라 생각할 수 있다.
철지난 테마에 묶여 떨어지는 수익률을 멀뚱멀뚱 쳐다보지 말고 변화의 흐름에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 테마라는 바람에 몸을 맡겨 하늘을 날았다면 떨어질 때를 대비하는 지혜도 발휘 할 수 있어야 한다. 제약바이오에서 경협이라는 테마로 넘어올 때도 그러했듯 지금 불고 있는 이 경협의 바람도 어느순간에는 그칠 것이므로.
'주식 투자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미 기준금리 역전과 Kospi 지수 분석 Part1 (0) | 2018.06.23 |
---|---|
대한민국 주식시장 공매도 문제 많다 (0) | 2018.06.11 |
대차잔고 vs 공매도잔고 (0) | 2018.06.10 |
[주목] 금일(2018.05.30) 코스피 개인 역대급 거래대금 순매수 (0) | 2018.05.31 |
GDP대비 KOSPI 시가총액 비교를 통한 주가지수 고점 점검 (0) | 2018.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