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잔고와 공매도잔고.
둘은 엄연히 다른 의미이다. 차이를 명확히 인식해야 투자판단에 참고할 수 있다.
대차와 공매도의 관계를 우선적으로 따져보면 대차를 해야 공매도를 할 수 있다.
우선 대차잔고를 살펴보자.
투자자들이 주식을 빌린 뒤 갚지 않은 물량. 이때 투자자란 개인이 아닌 기관이나 외국인을 의미한다.
이렇게 빌린 주식으로 투자자는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대차잔고가 모두 공매도에 쓰이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일단 빌려 놓고 공매도를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공매도가 아닌 DR에 활용하여 무위험차익거래에 쓸 수도 있다. 그 외에도 활용하는 방식은 더 다양하다. 어쨌든 이러한 이유로 대차잔고=공매도 이런 식으로 이해하면 안되는 것이다.
그러나 공매도 대기자금 성격이 가장 크므로 대차 잔고가 늘어난 다는 것은 그만큼 그 종목이 하락할 것이라고 보는 투자자가 많다는 뜻이다. 그런데 대차잔고가 중복으로 계산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시스템이 얼마나 허접하면 이런걸 집계조차 못하는 것인지 한심하다. 못하는게 아니라 안하는 거라고 본다. 의지만 있다면 못할 리가 있나.
다음은 한국증권거래소 홈페이지에 있는 내용이다.
대차거래는 공매도뿐만 아니라, ETF 설정, Repo 거래에 필요한 증권조달, 결제불이행 부족분 충당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우리 증시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공매도 거래 이외의 사유로 대차잔고가 늘 수 있기 때문에, 대차잔고가 증가하였다고 해서 모든 물량이 공매도로 이어진다고 볼 수 없습니다. 예컨대, A종목의 대차잔고가 전일 대비 1,000주 늘었으나, 당해 물량 중 600주가 ETF 설정 목적으로, 50주가 결제불이행 부족분을 충당하기 위해 활용된 경우, 공매도 대기수량은 350주에 불과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차잔고를 집계할 때 최초 대차 이후 재대차, 재재대차 정보까지 중복 집계되고 있어 대차잔고가 일정 부분 과다 계상될 여지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증권사 A가 100주를 대차한 후, 고객인 기관투자자 B에 동 물량 중 일부인 50주를 재대차한 경우, 증권사 A가 최초 대차한 물량과 증권사 A가 고객 B에 재대차한 물량까지 합산되어 대차잔고가 150주로 집계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와 같이 대차잔고에는 i) 공매도 이외의 목적으로 활용되는 거래분이 포함되어 있고, ii) 대차잔고 집계 시 중복계산 될 여지가 있으므로, 대차잔고의 전체 수량이 공매도 대기 수량을 의미한다고 보기 어려운 점을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렇다면 공매도잔고란 무엇인가.
공매도 잔고란 공매도를 한 뒤에는 그 주식을 사야 한다. 이때 아직 사지 않고 남아있는 물량을 공매도 잔고라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공매도 주체 세력이 언제 살지는 알길이 없다는 것이다.
이때 공매도한 주식을 산다는 것은 대차잔고를 상환하는 개념이 아니다. 단지 다시 거두어 들인다는 것이다.
참고로 대차한 주식을 언제 상환할지도 알길이 없는 것은 매한가지이다.
대차잔고와 공매도 잔고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는 이렇다.
기관A는 중계기관을 통해 삼성전자 주식을 100주를 대차를 했다고 하자. 그럼 대차잔고는 100주가 된다.
이렇게 가지고 있는 물량을 3일 후에 30주를 공매도에 썼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 날 이후 공매도 잔고는 30주가 된다. 대차잔고는 여전히 100주이다.
공매도를 한 주식은 다시 사야 한다. 그것을 short covering이라 한다. 만일 short covering으로 10주를 매수하였다면 그때 공매도 잔고는 20주(30주-10주)가 된다. 그러나 대차상환을 하지 않았다면 대차잔고는 여전히 100주인 것이다.
공매도 잔고에 대한 참고사항.
상법개정으로 2016년 6월 30일부터 공매도 잔고를 공개하도록 하였다. 그전에는 공매도 잔고는 공개하지 않고 그날 그날 공매도 수량만 공개하였던 것이다.
기존에는 공매도 잔고 보고 시간이 3영업일 이후였다가 2017년 5월 22일 이후로 2영업일 이후로 줄어 들었다.
공매도가 발생하였다고 무조건 보고하는게 아니다. 공매도 잔고 비율이 0.5%이상 되어야 보고 의무가 발생한다.
여기서 잔고비율 = (공매도잔고/상장주식수)*100 이다.
아래의 포스트도 참고해 주시면 좋습니다.
대한민국 주식시장 공매도 문제 많다
'주식 투자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미 기준금리 역전과 Kospi 지수 분석 Part1 (0) | 2018.06.23 |
---|---|
대한민국 주식시장 공매도 문제 많다 (0) | 2018.06.11 |
[주목] 금일(2018.05.30) 코스피 개인 역대급 거래대금 순매수 (0) | 2018.05.31 |
거래대금 측면에서의 남북경협주 분석 (0) | 2018.05.20 |
GDP대비 KOSPI 시가총액 비교를 통한 주가지수 고점 점검 (0) | 2018.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