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OSPI 고점 점검

GDP 대비 시가총액을 바탕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Bubble 진단을 수행해 본다.

Python의 Pandas Library를 이용하였다.

(PBR, PER등을 다양한 지표를 사용할 수도 있다.)


GDP는 나라지표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다만 분기별 생산액이므로 이를 연간 단위로 바꿔주여야 한다. 분석에서는 Rolling Sum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상단 그래프: GDP와 시가총액(왼쪽 y축 절대금액, 오른쪽 y축 normalizing 값)

하단 그래프: GDP 대비 시가총액 비율



역사상 최고점인 2007년 10월 98.6%을 찍은 이후로 이후로 하락하였다. 

2008년의 버블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2011년 04월에는 94.5% 찍은 이후로 하락하였다.


2017년 Q4 GDP 발표가 나와 봐야 알겠지만, 2018년 1월 현재 2500포인트를 상회한 기준으로 보면 고점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고 본다.

(작년부터 KOSPI 지수가 가파르게 상승하였다는 점을 감안)


모두가 주식투자를 한다고 할 때가 시장에서 나올 때라고 하지 않았던다.

달콤한 유혹에서 벗어날 때는 아닌지 반문해 본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켓

시간이 지나서도 그시절 내가 했던 생각들을 찾아볼 수 있는 기록을 글로 남기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