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8년 3월 FOMC가 기준금리를 인상함으로써 드디어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역전되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졌다는 의미이다. 가장 최근 금리가 역전되었던 적은 2005년 중순이므로 무려 13년 전이다.
그렇다면 기준금리가 인상되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흔한 경제기사를 보면 이러한 금리차이는 외국인의 자금유출을 가속화 시키는 촉매가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교과서적으로 보자면, 금리가 더 높은 쪽으로 유동성이 흘러가는 것이 당연한 것이다. 외국인의 영향이 상당히 큰 국내 증시의 상황에서 이는 큰 사건임에 분명하다. 이를 바탕으로 추론하자면 지수는 떨어질 것이라고 누구나 예상할 수 있다.
이런 경우 과거에 실제 지수는 과연 어떻게 움직였을까?
아래 그래프를 통해 실제 상황이 어떠했는지 살펴보자.
(사진을 올리면 해상도가 흐려진다. 클릭하면 잘 보인다. )
스프레드(미국기준금리-한국기준금리)(Left, Red)와 KOSPI(Right, Black)
(1999년 1월~2018년 4월)
스프레드(미국기준금리-한국기준금리)(Left, Red)와 외국인누적순매수(Right, Black)
(2005년 1월~2018년 4월)
그렇다. 역시 금리가 역전되자 외국인들의 자금이 유출되기 시작하였다. 그 이후로 지속적으로 외국인들은 국내 증시에서 돈을 거두어 들였다. (2008년 금융위기 사건 이후 한국의 금리가 미국 금리보다 다시 높아졌지만 당시의 충격은 금리와 상관없이 외국인 자금은 무서울 정도로 빠져나갔다.)
지수만 놓고 보자면 2005년 금리가 역전되기 시작하는 하였지만 코스피는 오히려 상승하였다.
주가지수는 어느 한 요인으로 쉽게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된다.
조금더 세밀하게 보자면 2005년 경에는 미국금리가 한국금리보다 약 1% 차이가 났을 때 자금 유출이 가속화되었다.
자금 유출을 금리만 놓고 볼 것이 아니라 당시의 양국의 경제, 정치, 외교적 상황등 많은 요인들을 다각도로 분석해야 한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금리 측면만 놓고 살펴 본 셈이다.
'주식 투자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이스침대(003800) 주가 분석 (0) | 2018.09.27 |
---|---|
한미 기준금리 역전과 Kospi 지수 분석 Part2 (0) | 2018.06.25 |
대한민국 주식시장 공매도 문제 많다 (0) | 2018.06.11 |
대차잔고 vs 공매도잔고 (0) | 2018.06.10 |
[주목] 금일(2018.05.30) 코스피 개인 역대급 거래대금 순매수 (0) | 2018.05.31 |